맨위로가기

단치 아마라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치 아마라우는 브라질 출신의 배구 선수로, 1999년 브라질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레프트 포지션으로 활약했다. 그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금메달,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포함하여 여러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개인적으로도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클럽 선수로서는 브라질, 이탈리아, 그리스, 러시아, 일본 등 여러 리그에서 활동하며 우승을 경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이아스주 출신 - 아르투르 멜루
    아르투르 멜루는 브라질 출신의 축구 선수로, 다양한 미드필더 포지션을 소화하며, 그레미우에서 프로 데뷔 후 FC 바르셀로나, 유벤투스를 거쳐 현재 ACF 피오렌티나에서 임대 선수로 활동하고, 브라질 국가대표팀으로 코파 아메리카 우승을 경험했다.
  • 고이아스주 출신 - 루카스 시우바 보르헤스
    루카스 시우바 보르헤스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로,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크루제이루 리그 우승 2회, 2014년 리그 최우수 수비형 미드필더 선정, 그레미우 캄페오나투 가우초 우승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 그리스의 외국인 배구 선수 - 아르투르 우드리스
    아르투르 우드리스는 벨라루스의 배구 선수로, 벨라루스 컵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고 벨라루스 선수권 대회에서 8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으며, 그를 응원하는 다양한 응원가가 존재한다.
  • 그리스의 외국인 배구 선수 - 개빈 슈밋
    개빈 슈밋은 캐나다 국적의 배구 선수로, 대한민국 V-리그에서 활약하며 팀의 우승을 이끌었고, 캐나다 국가대표로도 활동했다.
  • 브라질의 남자 배구 선수 - 루카스 사트캄프
    루카스 사트캄프는 브라질 배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미들 블로커로서 올림픽, 세계 선수권, 월드컵 등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고 클럽 레벨에서도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6년 리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브라질의 남자 배구 선수 - 레안드루 비소투
    레안드루 비소투는 브라질 배구 선수로, 국가대표팀에서 올림픽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하고 이탈리아, 일본, 한국 등 여러 리그에서 활동하며 2011-12 시즌에는 JT 선더스의 V.프리미어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단치 아마라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23-05-31 단테 아마라우
단테 아마라우
본명단테 기마랑이스 산토스 두 아마라우
출생일1980년 9월 30일
출생지이툼비아라, 고이아스, 브라질
포지션아웃사이드 스파이커
신장201 cm
체중86 kg
스파이크 높이345 cm
블로킹 높이327 cm
별칭단치
클럽 경력
연도1999–2000
클럽트레스 코라송이스
연도2000–2001
클럽수자누 상파울루
연도2001–2002
클럽미나스 테니스 클루비
연도2002–2005
클럽팔라볼로 모데나
연도2005–2008
클럽파나티나이코스 V.C.
연도2008–2011
클럽VC 디나모 모스크바
연도2011–2012
클럽RJX
연도2012–2014
클럽파나소닉 팬서스
연도2014–2015
클럽Funvic Taubaté
연도2015–2016
클럽EC 상조제
연도2016–2017
클럽PAOK 테살로니키
연도2017–2018
클럽Funvic Taubaté
국가대표 경력
국가대표팀브라질
국가대표 연도1999–2013
수상 내역
하계 올림픽금메달 (2004 아테네)
하계 올림픽은메달 (2008 베이징)
하계 올림픽은메달 (2012 런던)
세계 선수권 대회금메달 (2002 아르헨티나)
세계 선수권 대회금메달 (2006 일본)
세계 선수권 대회금메달 (2010 이탈리아)
월드컵금메달 (2003 일본)
월드컵금메달 (2007 일본)
월드컵동메달 (2011 일본)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 컵은메달 (2001 일본)
월드 리그금메달 (2001 카토비체)
월드 리그금메달 (2003 마드리드)
월드 리그금메달 (2004 로마)
월드 리그금메달 (2005 베오그라드)
월드 리그금메달 (2006 모스크바)
월드 리그금메달 (2007 카토비체)
월드 리그금메달 (2010 코르도바)
월드 리그은메달 (2002 벨루오리존치)
월드 리그은메달 (2011 그단스크)
월드 리그은메달 (2013 마르델플라타)
팬아메리칸 게임금메달 (2007 리우데자네이루)
팬아메리칸 게임동메달 (2003 산토도밍고)
남아메리카 선수권 대회금메달 (2011 쿠이아바)
남아메리카 선수권 대회금메달 (2013 카부프리우)

2. 선수 경력

단치 아마라우는 1999년부터 브라질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활약하며, 올림픽 금메달[3]과 2002년 및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 올림픽과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최고의 스파이커로, 2005년 월드 리그에서는 최고의 블로커로 선정되었다.

2011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최고의 스파이커 상을 수상했으며, 브라질 대표팀은 이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2011년 월드컵 출전권을 얻었다.[4]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2회 연속 올림픽 메달을 목에 걸었다.

2. 1. 초기 경력

단치 아마라우는 1999년 브라질의 클럽 트레스 코라코에스에서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3] 같은 해 19세의 나이로 브라질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에 선출되었다.[4] 수페르리가에서 뛰면서 남미 선수권, 월드 리그에서 경험을 쌓았다. 브라질의 다른 클럽인 수자누 상파울루와 미나스 벨루오리존치에서 2년을 더 보낸 후, 2002년에는 이탈리아로 이적하여 세리에 A의 모데나에서 뛰며 CEV컵에서 우승했다. 2005년에는 그리스 팀인 파나티나이코스에 입단했다. 2006년에는 그리스 선수권 대회에서, 2007년에는 그리스 컵과 슈퍼컵에서 우승했다.

2000년대 브라질 고속 배구에서 지바의 대각을 맡은 레프트 플레이어로 활약하며, 브라질 대표로 통산 144경기에 출전했다. 2008년에는 러시아 슈퍼리그의 디나모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준우승을 차지했고, 2010년 유럽 챔피언스 리그에서 베스트 스파이커상을 수상했다. 2013년 10월 일본 V 프리미어 리그의 파나소닉 팬서스에 입단했다. 등록명은 "단치 기마라에스 산토스 도 아마라우"가 되었다.

2. 2. 해외 리그 진출

단치 아마라우는 1999년 브라질의 클럽 트레스 코라코에스에서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수자누 상파울루와 미나스 벨루오리존치에서 2년을 더 보낸 후, 2002년 이탈리아로 이적하여 팔라볼로 모데나에서 뛰며 CEV컵에서 우승했다.[3] 2005년에는 그리스 팀인 파나티나이코스에 입단하여 2006년 그리스 선수권 대회, 2007년 그리스 컵과 슈퍼컵에서 우승했다.[3]

2008년에는 러시아 슈퍼리그의 디나모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준우승을 차지했고, 2010년 유럽 챔피언스 리그에서 베스트 스파이커상을 수상했다. 2013년 10월에는 일본 V 프리미어 리그의 파나소닉 팬서스에 입단했다.

2. 3. 브라질 국가대표팀

1999년 19세의 나이로 브라질 국가대표팀에 선출되었다.[1] 수퍼리가에서 뛰면서 남미 선수권, 월드 리그에서 경험을 쌓았다.[1]

2000년대 브라질 고속 배구에서 지바의 대각을 맡은 레프트 플레이어로 활약하며, 브라질 대표로 통산 144경기에 출전했다.[1]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함과 동시에 베스트 스파이커상을 수상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1]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61.22%의 높은 공격 성공률을 기록하며 베스트 스파이커상을 수상했다.[1] 이듬해 2007년 월드컵에서도 베스트 스파이커상을 수상했다.[1] 월드 리그에서는 2008년에 베스트 스파이커상, 2005년에 베스트 블로커상, 2004년에 베스트 리시버상을 수상했다.[1]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2회 연속 은메달을 획득했다.[1]

2. 4. 일본 리그 활약

2013년 10월 일본 V 프리미어 리그의 파나소닉 팬서스에 입단했으며, 등록명은 "단치 기마라에스 산토스 도 아마라우"로 정해졌다.[1]

3. 수상 경력

단치 아마라우는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월드컵,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월드 리그, 남미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둔 배구 선수이다.


  • 올림픽
  • * 2004년 금메달
  • * 2008년 은메달
  • * 2012년 은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 * 2002년 금메달
  • * 2006년 금메달
  • * 2010년 금메달
  • 월드컵
  • * 2003년 금메달
  • * 2007년 금메달
  •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 2005년 우승
  • 월드 리그
  • * 2001년 우승
  • * 2003년 우승
  • * 2004년 우승
  • * 2005년 우승
  • * 2006년 우승
  • * 2007년 우승
  • 남미 선수권 대회
  • * 1999년 우승
  • * 2001년 우승
  • * 2003년 우승
  • * 2005년 우승

3. 1. 클럽

시즌소속팀리그우승
1999-2000Três Corações|트레스 코라소에스pt
2000-2001수자누 (상파울루)
2001-2002미나스 테니스 클루비브라질 슈퍼리그
2002-2005모데나 배구
2003-2004모데나 배구CEV 챌린지컵 --
2005-2008파나시나이코스
2005-2006파나시나이코스그리스 리그--
2008-2009디나모 모스크바
2009-2010상베르나르두
2010-2011디나모 모스크바
2011-2013미나스 테니스 클루비
2012-2013미나스 테니스 클루비브라질 슈퍼리그--
2013-2014파나소닉 팬서스
2014-2015Funvic Taubaté|팡비크 타우바테pt
2015São José|상 조제pt
2015-2016파나소닉 팬서스
2016-2017PAOK 테살로니키그리스 리그--
2017-2018Funvic Taubaté|팡비크 타우바테pt


3. 2. 국가대표팀

연도대회결과
1999남미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01FIVB 월드 리그-- 금메달
남미 선수권 대회-- 금메달
FIVB 월드 챔피언스컵-- 은메달
2002FIVB 월드 리그-- 은메달
FIVB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03FIVB 월드 리그-- 금메달
남미 선수권 대회-- 금메달
FIVB 월드컵-- 금메달
팬 아메리카 게임-- 동메달
2004FIVB 월드 리그-- 금메달
올림픽-- 금메달
2005FIVB 월드 리그-- 금메달
남미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06FIVB 월드 리그-- 금메달
FIVB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07FIVB 월드 리그-- 금메달
FIVB 월드컵-- 금메달
팬 아메리카 게임-- 금메달
2008올림픽-- 은메달
2010FIVB 월드 리그-- 금메달
FIVB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11FIVB 월드 리그-- 은메달
FIVB 월드컵-- 동메달
2012올림픽-- 은메달
2013FIVB 월드 리그-- 은메달


  • 올림픽
  • * 2004년 금메달
  • * 2008년 은메달
  • * 2012년 은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 * 2002년 금메달
  • * 2006년 금메달
  • * 2010년 금메달
  • 월드컵
  • * 2003년 금메달
  • * 2007년 금메달
  •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 2005년 우승
  • 월드 리그
  • * 2001년 우승
  • * 2003년 우승
  • * 2004년 우승
  • * 2005년 우승
  • * 2006년 우승
  • * 2007년 우승
  • 남미 선수권 대회
  • * 1999년 우승
  • * 2001년 우승
  • * 2003년 우승
  • * 2005년 우승

3. 3. 개인

연도대회
2004FIVB 월드리그최고의 리시버
2004하계 올림픽최고의 스파이커
2005FIVB 월드리그최고의 블로커
2005아메리카스컵최우수 선수, 최고의 공격수
2006FIVB 세계 선수권 대회최고의 스파이커
2007FIVB 월드컵최고의 스파이커
2008FIVB 월드리그최고의 스파이커
2010CEV 챔피언스 리그최고의 스파이커
2010후베르트 예지 바그너 기념 토너먼트최고의 리시버
2011남미 선수권 대회최고의 스파이커
2014구로와시키 토너먼트이상적인 선수


  • 올림픽
  • * 2004년 (금메달)
  • * 2008년 (은메달)
  • * 2012년 (은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 * 2002년 (금메달)
  • * 2006년 (금메달)
  • * 2010년 (금메달)
  • 월드컵
  • * 2003년 (금메달)
  • * 2007년 (금메달)
  •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 * 2005년 (우승)
  • 월드 리그
  • * 2001년 (우승)
  • * 2003년 (우승)
  • * 2004년 (우승)
  • * 2005년 (우승)
  • * 2006년 (우승)
  • * 2007년 (우승)
  • 남미 선수권 대회
  • * 1999년 (우승)
  • * 2001년 (우승)
  • * 2003년 (우승)
  • * 2005년 (우승)

4. 소속 클럽

기간소속팀
1999년-2000년Três Corações|트레스 코라소에스pt
2000년-2001년수자누 (상파울루)
2001년-2002년미나스 테니스 클루베
2002년-2005년모데나 발리
2005년-2008년파나티나이코스
2008년-2009년디나모 모스크바
2009년-2010년Esporte Clube Banespa|상베르나르두pt
2010년-2011년디나모 모스크바
2011년-2013년RJX Esporte Clube|RJXpt
2013년-2014년파나소닉 팬서스
2014년-2015년Vôlei Taubaté|팡비크 타우바테pt
2015년Vôlei São José|상 조제pt
2015년-2016년파나소닉 팬서스
2016년-2017년PAOK 테살로니키
2017년-2018년Vôlei Taubaté|팡비크 타우바테pt


참조

[1] 웹사이트 Team Roster – Brazil http://www.fivb.org/[...] 2016-01-03
[2] 웹사이트 AMARAL, Dante http://results.beiji[...]
[3] Sports-Reference Dante (full name: Dante Guimarães Santos do Amaral) https://web.archive.[...] 2010-08-10
[4] 웹사이트 Brazil book place in World Cup with South American Championship win http://www.fivb.org/[...] 2011-09-29
[5] 서적 2013年度 新規加入選手・スタッフ紹介 http://panasonic.co.[...] パナソニック・パンサーズ 2013-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